
2024. 10 기준 전망 공부 및 추측
채권
이자(쿠폰): 주식의 배당 같은 것
채권 가격: 주식 가격 같은 것
현황
9월 50bp 금리 인하는 경기가 침체할 것을 예상한 보험성 금리 인하
연준이 국채와 MBS를 통한 자산긴축+기준금리 인하를 병행한다고 발표했다.
- 금리인하: 돈을 많이 풀어서 돈의 가치를 떨어뜨리겠다.
- 자산긴축: 시장에 있는 돈을 흡수하겠다.
(이 두개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은 경제학 이론적으로 어색한 일이다. 하지만, MBS 중심으로 자산 긴축은 계속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국채는 발행하다가 내년쯤 양적완화(QE) 수준으로 다시 돌아갈 것으로 추측된다.
양적완화: 기준금리 수준이 이미 너무 낮아서 금리 인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입하는 방법 등(자산을 사들임)으로 시중의 통화 공급을 늘리고 유동성을 높이는 정책
MBS(Mortgage Backed Securities): 주택이나 토지를 담보물로 발행하는 채권(우리나라로 치면 주담대를 바탕으로 만든 채권), 현재 시장 상황상 금리 인하는 시행하고 있으나 미국 부동산 가격이 반등하고 있어서 부동산 가격은 낮춰줘야 하기 때문에 발행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금리인하를 하고 싶으나, 주택담보대출이 너무 많은 상황에서 더 늘어나게 될 것이 우려되어 못하는 실정인데 비슷한 상황에서의 전략으로 추측. 단, 미국의 경기지표는 양호↔한국은 경기침체)
양적긴축(QT)을 하면 민간은행의 지급준비금이 줄고, 단기 자금시장의 불안이 나타난다.
지급준비금: 은행이 예금자들의 인출 요구에 대비해 예금액의 일정비율 이상을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토록 한 지급준비제도에 따라 예치된 자금
단기 FOMC 금리 예상: 발표된 플랜대로 인하 가능성 예상된다.
FOMC: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기구이자 회의. 매월 통화량의 추이에 따라 공개시장 조작 정책을 정하고 금융정책을 제시한다.(금리를 조정하는 기관)
단기 한국 한은 금리 예상: 주담대, 물가 우려가 있지만 약간의 인하 가능성이 예상된다.
현황에서 미국 채권 투자는
- 9월 고용지표 발표 후 10년물 기준, 금리 4% 이상으로 상승되어서 비중 확대를 고려해볼 수는 있다.(그런데 GDP 성장률 하방 위험 리스크가 크다는 분석도 있어서(경기 하락) 금리가 다시 4% 이하로 내려갈 수 있다고.)
- 만약 발표된 플랜대로 남은 올해 연속 25bp씩 금리 인하가 된다면 결론적으로 한동안 지속적인 금리 인하 추세가 이어질 것이다. 그런 중에 채권 비중 확대의 기회를 찾는다면, 조금 기다렸다가 트럼프 대통령 당선된 시점에 저가매수를 노려볼 수 있겠다.
. 트럼프 공약: 감세 정책 추진에 따라 금리 강세 가능성 추측(채권을 발행해서 정부가 쓸 돈을 조달해야 되니까)
. 해리스 공약: 현 상황 유지 추측
또한 경제 지표가 잘 나와서 침체 회복이 되었다는 생각에 미국채 금리가 오르고(최근 10년물 기준 4.2%까지 상승..) 채권 시장이 안 좋게 되었다.(기존 채권의 가치 하락: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금리가 높아지면 기존에 발행된 낮은 금리의 채권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금리 인하 기대가 선반영된 하락폭을 다시 채우는 모양새라는 분석이 있다.
채권 매수에 대해 단기가 아닌 장기간 놓고 고민한다면, 지켜보다가 미국 대선 이후, 내년 상반기 후반쯤 결정하는 것이 좋겠다.
'모으고불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 협상(처우 협상)을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보상 개념 | 기본 연봉, 상여금, 성과급, 수당, 주식 옵션(Stock Grant, RSU, (2) | 2024.11.13 |
---|---|
영원히 팔지 않을 주식에 투자하기 (18) | 2024.09.08 |
슈카쌤의 금리의 기초 (0) | 2024.08.26 |
배당성향(Payout Ratio)과 FFO(Funds from operations) (0) | 2024.08.09 |
주식 마켓 타이밍 - 모멘텀 전략 (0) | 202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