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으고불리기

주식 마켓 타이밍이란? 마켓 타이밍 기법

당근치로 2024. 5. 27. 18:49
반응형

주식 마켓 타이밍이란? 마켓 타이밍 기법

clock
출처: 나. 인생은 타이밍

 

마켓 타이밍이란?

자산배분과 같이 롱텀 전략이 아닌, 조만간 오를 가능성이 큰 자산을 사고 반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큰 자산을 파는 투자 방법. 미래를 예측하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고, 확률의 가능성에 기대하여 주식을 사고파는 시기를 잘 맞춰서 수익을 올리는 것이다.

 

1) 가격(모멘텀)을 보고 마켓 타이밍 설정하기

- 최근 3~12개월간 많이 오른 자산은 향후 3~12개월 동안에도 계속 오를 가능성이 높다.

- 최근 3~12개월간 수익이 플러스였던 주식은 향후 3~12개월 동안에도 계속 플러스일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모멘텀을 보이는 자산 비중을 확대시키는 투자 전략이 '동적자산배분'이다.

 

2) 계절성을 보고 마켓 타이밍 설정하기

주식시장의 '경향성'

- 주식시장은 보통 11~4월의 수익이 5~10월의 수익보다 높은 편이다.

- 한국 주식시장은 1월의 수익이 특히 높은 편이다.(특히 소형주)

- 공휴일 전후에 보통 주식 수익률이 높은 편이다.

- 월요일의 주가지수 수익은 다른 날보다 낮은 편이다.

- 목요일과 금요일의 주가지수 수익은 다른 날보다 높은 편이다.

- 장중 오전 수익은 마이너스, 오후 수익은 플러스일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 시가가 전날 종가보다 높게 형성되는 편이다.

 

3) 경제지표를 보고 마켓 타이밍 설정하기

각종 경제지표(경제 성장률, 금리, 환율, 물가, 실업률, 수출 등)가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분석하여 전략을 실행하는 것은 복잡하고 어렵다.

 

4) 밸류에이션을 보고 마켓 타이밍 설정하기

PER, PBR을 기준으로 저평가된 주식 사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