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계좌와 ETF, ETF를 고르는 기준, 수익률의 함정
연금계좌(연금저축펀드), IRP 계좌로 자산배분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노후 대비 자산은 무엇보다 안정성이 중요한데, 예금만 하기에는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한다. 적절한 수익까지만 바란다면 변동성은 낮추되 투자 수익률은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한국 주식시장 2008년에 50% 폭락, 2018년에 20% 폭락. 인생은 알 수가 없다...) 위험한 불확실성을 낮추면서 주식의 수익률에 견주는 수익률을 위해 ETF로 장기투자 해보자.
연금저축 펀드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펀드 상품
1. 액티브 펀드: 지수를 상회하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함
2. 지수형 펀드(인덱스펀드): 지수를 추구함
역사상 결과적으로 액티브펀드의 성과는 지수를 이기지 못한다. 따라서 지수를 상품화한 인덱스 펀드에 장기 투자하자.
펀드는 인덱스펀드와 ETF(상장지수펀드)가 있다.
1) 인덱스펀드에 직접 투자: 매수와 환매에 일정 기간 소요됨
2) ETF(상장지수펀드)에 간접 투자: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 가능, 운용 보수 저렴(국내 주식형 펀드 연평균 운용 보수와 주식형 ETF 운용 보수 4배 차이 남)
ETF를 고르는 기준
1) 거래량과 시가총액이 많은 상품을 골라야 한다. 거래량이 적을 경우 주문 체결에 불리함. 많은 사람들이 거래하고 있는 ETF가 투자자들에게 검증받았다고 볼 수 있음.
2) 총보수가 적은 상품을 골라야 한다. ETF의 보수는 매일 시가총액에서 차감된다. 같은 조건이면 보수가 낮은 상품을 선택하자.
3) ETF 상품을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의 규모와 신용을 잘 살펴보고 골라야 한다. 규모가 작은 상품은 거래 시 매수/매도 호가 차이로 손해를 보기도 하고, 상장 폐지되기도 한다. 다만, ETF는 상장폐지 되어도 최종 금액 기준으로 잔액을 돌려주기는 한다.
※ 더 자세한 상품, 정보는 한국거래소와 각 자산운용사 홈페이지, 네이버 증권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찾아보자.
연금계좌 계좌이체 제도
연금계좌는 다른 금융사의 연금저축 또는 IRP로 이체할 수 있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신규로 가입할 금융사에 방문, 계좌 개설 및 연금저축 계좌이체 신청서 작성
2) 기존 금융사로 팩스나 이메일로 이체 내용이 통보됨
3) 기존 금융사에서 이체 의사 확인 전화가 오며, 계좌이체 시의 유의사항을 안내해 줌. 확인 완료 후 기존 금융사 → 신규 금융사로 서류 및 적립금 전달
4) 신규 금융사에서 입금 확인 후 이체 완료에 대해 전화로 안내 옴
단, 기본 전제를 반드시 알자★
- 금융 상품의 수익률의 함정(그래도 원금보장 상품이라면 수익은 낮더라도 원금 손실은 없음)
1) 장기간 고정금리로 고금리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는다.(심지어 예금조차도)
2) 이자소득세를 원천징수한다.
3) 물가상승률을 반영해야 실질적인 수익률이다.
- 동률의 수익률이라고 하더라도 실제 내 통장으로 들어오는 수익은 다르다.
ex) 1000만원 이자 2% 1년 투자 시,
- 예금: 수익 약 17만 원(이자소득세 빠진 금액)
- 적금: 수익 약 8만 원
- 펀드: 수익 약 9만 8천 원(선취판매수수료를 뺀 값을 원금으로 계산 시), 1%가 안 됨... 환매하면 여기서 환매수수료와 배당소득 세금까지 빠짐
→ 수익을 정확히 알고 투자해야 한다!
-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는 상품에서 실제로 원금 손실이 발생했다면 복리의 효과는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
- 그렇다고 가만히 있는다고 해도 손실이 나고 있다. 인플레이션! 금리만으로는 돈의 가치를 지키려면 투자로써 최소한 물가상승률만큼 수익률을 올려야 한다.
- 변동성(불확실성)을 확인하여 장기전에 유리한지 분석해야 한다.
'모으고불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배분 투자 포트폴리오 설계 단계 (0) | 2024.02.20 |
---|---|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Indivisual Saving Account를 활용한 투자 (0) | 2024.02.17 |
기업의 가치 평가 방법 | 주가 배수와 수익률 (0) | 2024.02.13 |
기업의 경제적 해자 판단 3단계 그 후 | 가치 평가 고려 요소를 활용한 저평가 주식 매수하기 (0) | 2024.02.12 |
투자자로서 경제적 해자가 있는 기업을 찾는 방법과 해자가 있는 기업의 수익성 추측 방법 (0) | 202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