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으고불리기

투자자로서 분석해야 하는 기업의 경제적 해자 분석 도구

당근치로 2024. 2. 10. 00:12
반응형

투자자로서 분석해야 하는 기업의 경제적 해자 분석 도구

castle
출처: 나. 이탈리아 아씨시 로카 마지오레 성 요새

 

"해자가 있고 높은 자본이익률을 가지는 가치 높은 기업에 장기투자 하자."

- 부자를 만드는 주식투자의 공식, 경제적 해자를 읽고.(by 팻 도시)

 
 

경제적 해자란?

- 해자: 중세 시대 성을 둘러싸고 있는 적의 공격을 막아내는 고랑 또는 하천
- 워렌 버핏의 경제적 해자: "훌륭한 기업은 주위에 깊은 해자를 두른 견고한 성과 같다."
 

투자자로서 기업의 경제적 해자에 집중해야 하는 3가지 이유

1. 해자가 있는 기업이 경제적 이익을 달성하는 것에 있어 지속 가능성(경쟁력)이 높아 기업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즉, 해자가 있는 기업의 주식을 산다는 것은 현금흐름의 보호를 뜻하는 것.(오래 탈 자동차냐? 곧 망가질 자동차냐? 나는 어떤 자동차를 살 것인가? 해자가 없는 기업의 주식을 비싸게 살 가능성을 낮추자.)
2. 해자가 있는 기업이 회복 탄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핵심 브랜드로써)
3. 경쟁 기업 분석에 도움이 된다.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 분석 시, 양질의 기업을 고를 수 있도록 돕는다.
 

무엇을 보고 해자라고 판단할 수 있을까? 경제적 해자의 4가지 기준(분석 도구)

1. 무형 자산을 지니고 있는 회사인가?

브랜드, 특허(단, 다양하게 보유해야 함), 법적 라이선스를 가진 회사(인가 자체가 경쟁력)
ex)
- 프리미엄 가격의 브랜드: 티파니 - 다이아몬드, USG - 시트록 석고보드, 바이엘 - 아스피린
- 특허 다량 보유: 머크, 3M, 일라이 릴리
- 법적 라이선스: 무디스(신용평가회사), 슬롯머신회사(미국에 단 4개), 스트레리어 에듀케이션, 아폴로 그룹(고등교육 학위 부여 회사), 웨이스트 매니지먼트(쓰레기매립장회사), 벌칸 마테리얼(채석장회사)

2. 고객들이 전환비용 때문에 포기하기 어려운 제품인가?

전환 비용(시간, 안정성, 정확도, 위험도 측면에서)이 큰 제품이나 서비스를 보유하고, 가격경쟁력이 있는 회사 → 스티키 에셋(Sticky Asset: 투자 계좌에 넣어놓고 움직이지 않아 투자회사가 각종 수수료와 부과금을 청구해 높은 이익을 올리는 자산) 창출
ex)
주거래 은행, 인튜이트(회계 소프트웨어), 오라클(DB), 파이서브 주식회사/스테이트 스트리트(자산관리회사 백오피스 시스템), 프리시전 캐스트파츠(제트 비행기 엔진 및 발전소 터빈용 첨단 초강도 금속 부품), 어도비(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오토데스트(오토캐드), 미국 프로판 유통사업, 워터스 주식회사(LC 장비)
 
따라서, 소매점, 식당, 소비재회사들은 전환 비용이 낮으니 해자를 가지기 어렵겠다.

3. 네트워크 경제의 이점을 가진 회사인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만한 가치의 제품을 제공하여 실제로 사용자 수로 업계 지배우위를 갖는 회사. 주로 물리적 자본보다는 지식 기반 산업(정보 공유, 소셜 네트워킹 등)의 주요 해자 특징.
ex)
엑슨 모빌, 시티그룹, 월마트, 아메리칸 익스프레스(가맹점 多), 마이크로소프트, 이베이(온라인 경매-사용자 多), 시카고상품거래소/뉴욕상업거래소(선물거래소 - 유동성이 구축된 제약된 네트워크 효과 (선물거래는 선물거래소에서만 살 수 있고, 샀던 곳에서만 팔 수 있는 특수성) 의 사업. 증권거래소와 대비되는 양상으로 수익성을 유지 중), 웨스턴 유니온(송금 전문회사), C.H.로빈슨(3차 물류산업-화물~트럭 운송업자 연결, 화주 多), 익스페디터 인터내셔널(3차 물류산업-국제 화물 배송(서비스 전반), 지점망 多)

4. 원가 우위가 있어 상품이나 서비스를 낮은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가?

원가 우위(프로세스, 위치, 규모, 고유 자산 등 측면에서)를 가진 회사. 주로 가격 이외에는 차별점을 갖기 어려운 원자재 산업의 주요 해자 특징. 대체품을 쉽게 구할 수 있는가? 가성비가 좋은가? 생각해 보면 됨.
 

4-1. 원가 우위를 가져올 수 있는 4가지 조건

 
1) 저비용 프로세스
처음엔 효과 있음. 경쟁사에서 비슷한 방법으로 원가 구조를 갖추게 되면 점차 경쟁력이 떨어짐. 그래도 천천히 그럴 수도 있다. 저비용 프로세스만으로는 약한 해자라고 볼 수 있다.
ex)
델(구매자 직판매, 타이트한 재고관리), 사우스웨스트 항공사(제트기 획일화로 유지관리비용 절감, 지상 시간 절감하여 회전율 높이기, 직항 노선), 뉴코/스틸 다이내믹스(미니밀:저비용 제철 공정 운영) → 원가 우위를 점하다가 점차 경쟁구도 강화되는 중.
 
2) 유리한 위치
주로 완제품시장(값싸고, 생산지에서 가까운 곳에서 소비되는 제품)에서 원가 우위를 가지게 하는 조건. 저비용 프로세스보다는 원가 우위가 조금 더 더디게 떨어진다.(경쟁력 유지성이 좀 더 오래간다.)
ex)
고객과 가까운 위치의 쓰레기 매립지, 채석장(배송비 절감), 시멘트 공장, 포스코(한반도 내에 위치하여 한국 자동차, 선박산업으로 공급)
 
3) 고유한 자산
주로 광산업, 완제품시장(독점적으로 자원 자산에 접근(채취)할 수 있는 회사)에서 원가 우위를 가지게 하는 조건. 저비용 프로세스보다는 원가 우위가 조금 더 더디게 떨어진다.(경쟁력 유지성이 좀 더 오래간다.)
ex)
울트라 석유회사(천연가스 회사, 보유한 토지의 유정의 천공비용이 경쟁사대비 저렴), 컴퍼스 미네랄(가더리치 광산-제빙용 소금 생산 회사), 아라크루즈 셀룰로스(성장성 좋은 유칼립투스-펄프 생산회사)
 
4) 규모의 경제
변동비용에 비해 고정비용이 높을수록 견고한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경쟁사가 많을 수가 없다는 뜻. 택배회사, 제조회사, 유통회사 등. 견고한 산업 회사의 기업 규모를 볼 때는 절대 크기가 아닌, 경쟁사 대비 상대 크기를 봐야 함.(작은 회사가 원가 우위를 가지기도 함)
규모의 경제를 가늠하는 3가지 항목
- 제조의 규모(어셈블리 라인을 보유한 공장. 중국, 동유럽 저가 노동력 원인으로 효과는 약해지고 있지만...)
ex) 엑슨모빌
ex) 제조를 판매로 연결시켜 보면, 일렉트로닉 아츠(다량 판매 기반 덕분에 고액 비디오 게임 개발 가능), 비스카이비(압도적인 가입자수 덕분에 고 가격 콘텐츠 수급 제공), 
- 대규모 유통망★ 강력한 해자의 원천
ex) UPS (조밀한 지상 배송망)>페덱스, 다든 레스토랑(해산물 유통망 보유), 스테리사이클(의료 폐기물산업(독보적인 유통망 밀집도))
- 서비스 중심 경제화 기반 또는 특정 아이템으로 틈새시장 지배
ex) 워싱턴 포스트(케이블TV 아이다호 주만 서비스. 경쟁사가 굳이 들어오지 않음), 그레이코(고품질 페인트 분무기, 음식물 처리용 펌프 제조), 블랙보드(대학교육 응용 소프트웨어), 민간 비행장/공항(많은 공항들은 강력한 해자를 가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