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업성장

서비스기획자 Product Manager 포트폴리오 구성 방법

당근치로 2023. 12. 24. 00:20
반응형

서비스기획자 Product Manager 포트폴리오 구성 방법

keyboard
출처: 나

 

최신 채용 트렌드에 맞춰 다시금 이직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직을 했던 6년 전보다도 훨씬 더 높은 수준의 포트폴리오를 요구하는 분위기다.

 

전엔 부족했던 기획자 포트폴리오 관련 강연, 글도 참 많아졌고 서비스기획자/PM 커뮤니티의 포트폴리오 웨비나엔 주말임에도 실시간으로 몇백 명의 사람들이 모여 강연을 듣고, 서로 의견을 주고받고 있다.

 

이 직무가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어가는 것이 기쁘면서도, 한편으론 그만큼 꾸준한 업무 능력 강화 없이는 경쟁에서 살아남기 쉽지 않아 보인다. 살벌하게 준비해야함을 깨닫고 예전에 만들어둔 문서는 활용하지 않고 완전히 새로 만들며 준비 중이다. 이제 막바지에 다다랐는데, 꾸준한 디벨롭을 위해, 향후를 위해, 나와 같이 참고가 필요한 누군가를 위해 이 글에 정리를 해둔다.

 


 

기본 작성방법

- 포트폴리오는 이력서에 있는 프로젝트의 '축약된 내용'을 펼쳐놓는 문서다.

- 키워드 중심으로 '간결하게' 각 구성마다 '중요한 것부터 작성'한다. 문서를 읽을 때 F자형 순으로 읽게 되므로 레이아웃 구성과 구성 요소도 중요도순 F자로 배치한다.

- 모든 내용에는 근거가 있어야 한다.

 

 

1. 목차 구성

 

 

2. '나'에 대한 기술

 

1) 나는 어떤 사람인지

2) 어떤 강점을 가지고 있는지

 

 

3. '지원 동기' 기술

 

1) '해당 회사'에 왜 지원했는지

- 회사의 최근 동향을 조사하여 동향에 맞춰 '내가 이 회사에 왜 필요한지'를 설명해야 한다.

2) '해당 직무'에 왜 지원했는지

- 서비스 기획자/Product Manager/Product Owner/웹 기획자... 회사에서 요구하는 상세 역할에 따라 명명하는 직무명이 다르다. JD를 꼼꼼히 분석하여 해당 직무에 지원한 이유를 명확히 한다.

- 경험 측면의 내공과 강점을 기술한다. 그 업무에 필요한 보유 하드 스킬(사용 가능 툴-특히 데이터분석 툴)/소프트 스킬(특히 협업관점-목적조직 리딩경험 등)

3) 어떤 식으로 일하고 싶은지

- 개연성이 있어야 한다.

 

 

4. 커리어 기술

지원 회사 도메인과 관련된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상세 기술

- 주요 커리어가 운영 개선이더라도 도메인 빠꼼이임을 어필

 

1) 주요 프로젝트의 서비스에 대한 간략한 설명

- 구매자/판매자(타겟 고객)

- 프로젝트 배경

 

2) 문제정의(KPI) 내용 및 프로젝트화 과정에 대한 기술

- 데이터 기반의 문제 상황 파악

-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or 어떤 KPI(목표 수치)를 달성하고자 or 정책 변경하고자 했는지

- 문제 정의. 문제는 '발견'이 아닌, '정의'되어야 한다. 퍼널 관점에서 보고 정의되어야 한다. VOC가 출처라면, 그 안에서도 Why가 있어야 한다. 요구사항이 있었다면, 기획자의 관점에서 해법을 찾고자 했어야 한다.

- 문제 해결을 위한 가설 설정 내용

- 왜 그렇게 의사결정 했는지(논리적인가? 의사결정의 근거 데이터, 데이터의 출처(발췌일 수도 있음), 분석 방법 제시)

★트렌드: 메트릭 중심 개선 역량이 중요!

 

3) 해결과정 및 개선 결과

- 어떻게 개선했는지(기존대비 n% 상승, 감소)

- 가급적 정량적 수치로 비즈니스 임팩트를 작성하면 좋지만, 어렵다면 정성적으로라도 작성한다.

- '제품의 출시' 또한 성과임. 출시일 기재

- 3)는 2)의 적절한 해결 방안이어야 한다.

- 레슨런

 

--------------------------------------------------------------------------------------------------- 아래는 직무 상세에 따라 다르게 어필

4) 협의와 설득의 경험

- 커뮤니케이션 역량 어필

 

5) 다면적 사고의 경험

- 상황에 따른 장단기적 플랜과 다양한 케이스(시스템간 영향도, 사이드 이펙 등)가 고려된 경험 어필

 

6) 리소스 관리 경험

- 프로덕트, 프로젝트, 휴먼 리소스 관리

 

※ 주니어인 경우, 분량은 프로젝트 2~3개정도 담고 프로젝트별 페이지 수는 인트로 페이지 제외하고 5페이지로 작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반응형